본문 바로가기
명언모음

아들러의 철학 명언모음, 인간에게 가장 취약한 두 가지, 권력과 열등감에 대해서

by motivationhack 2025. 2. 5.
반응형

인간은 모두가 열등감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권력욕도 강하다. 둘 다 과하면 독이 된다. 적당한 열등감은 동기부여가 되고, 권력을 선하게 휘두른다면 존경을 받게 된다.

권력 욕구

생각의 함정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태도를 정당화해 줄 수 있는 생각은 붙잡고 방해되는 생각은 거부한다. 세상을 바라보고 해석할 때에도 자기 생각을 지지하는 데에 필요한 것만 받아들인다.

 

이로운 것들은 의식의 영역에 두지만 자신을 불편하게 하는 것은 무의식으로 밀어 넣는다.


집중력은 누구에게나 있다

 

흔히 내가 혹은 우리 아이가 집중력이 없어서 문제라고 말하지만 그것은 틀린 말이다. 집중하지 못하는 사람은 없다. 다만 항상 다른 것에 집중하고 있을 뿐이다.

 

부주의는 다른 사람이 요구하는 것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못났다는 느낌은 어디서 오는가

 

인간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곧 열등감을 느낀다는 것이다. 태어난 그 순간부터 인간은 비교 대상부터 찾는다. 형제나 또래 친구는 물론이고 심지어 부모까지도 경쟁의 대상으로 본다.

 

자신에게 없는 것, 자신이 할 수 없는 것을 곧바로 다른 사람보다 못하다는 감정으로 받아들인다. 신발 끈을 매지 못해 끙끙대는 아이를 도와줬다가 도리어 아이에게 한 대 맞는 엄마를 보더라도 너무 놀라지 마라.


미래는 과거의 해석이다

과거가 우리가 극복하려던 열등감이나 결핍감을 보여준다. 미래는 어디로 그 에너지를 옮겨갈 것인지 방향과 관련이 있다.

 

한 사람의 미래는 그가 과거의 열등감과 결핍을 어떻게 해석하고 무엇을 실행에 옮기는가에 달려 있다.


포장하려는 노력

 

남보다 잘났다는 것을 꼭 보여주려고 애쓰는 사람이 있다. 우리는 그 안에 있는 열등감을 봐야 한다. 말이 너무 많은 사람, 행동이 너무 과한 사람에게는 항상 감추려고 하는 어둠이 있다. 이 점을 잘 들여다봐 주면 좋아질 것이다.


가장 나쁜 사례

 

자신의 부족함을 숨기기 위해, 자기 최면이나 자기도취를 반복하면서 스스로 뛰어난 사람이라고 느끼고 싶어 하는 경우가 많다.

 

직장에서 이렇게 억눌린 사람이라면 집으로 돌아와서는 자신이 얼마나 중요하고 대단한 존재인지 가족에게 보여주려고 폭군이 되기도 한다.

 

그의 열등감은 해소되지 않고 축적된다. 자기 자신을 기만하는 이런 노력은 결국 실패한다.


권력을 향하는 사람들

 

열등감이 클수록 권력에 대한 욕망은 강해지고 감정적 기복도 심해진다. 권력을 잡았다고 생각하고 마구 휘두르는 사람은 그 권력을 잃게 되었을 때 상상하기 힘든 수준으로 초라해진다.

 

권력은 강력한 열등감에 시달리는 사람이 손쉽게 얻을 수 있는 가짜 치료약이다.


감정의 목적

 

모든 감정과 행동에는 보다 근본적인 이유가 있다. 목표가 있는 사람은 감정을 그 목표 달성에 맞게 적응시킨다. 이를테면 분노는 종종 타인이나 상황을 지배하기 위해 꺼내 드는 장치다.

 

습관적으로 화를 내는 사람은 상대를 빠른 시간 안에 굴복시키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그럴 만한 힘이 없는 사람은 자신에게 화를 돌리는 이른바 자학의 태도를 취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