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펜하우어 명언모음
1. 쇼펜하우어 명언
동정심은 모든 도덕성의 근본이다.
무언가의 가치를 알 수 있는 방법은 바로 그 무언가를 잃어보는 것이다.
가장 큰 어리석음은 다른 종류의 행복을 위해 희생하는 것이다.
모든 개인의 삶은 정말 비극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희극의 성격을 띠고 있다.
사람들이 흔히 운명이라 부르는 것들의 대부분은 자신의 어리석음으로 인한 것들이다.
사람은 혼자 있을 때야 비로소 자신다워질 수 있는 것이다.
자기 안에서 행복을 찾기는 어렵지만 다른 곳에서는 찾을 수 없다.
2. 쇼펜하우어 명언
행복의 최대의 적은 고통과 지루함이다.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것은 아주 작고 사소한 일을 잘하는 데 있다.
세상을 넓게 보면 욕망이 커지고 그것을 이루려는 걱정과 불안이 증가한다.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의지와 마음의 동요를 적게 해야 한다.
결국 인간의 행복과 불행은 마음먹기에 달렸지만 단순하고 단조로움을 견디며 지적인 생활을 감당할 수 있는 소양을 갖추어야 한다. 그래야 권태라는 그늘에서 벗어날 수 있다.
3. 쇼펜하우어 명언
후회는 자신을 고문하는 것이다.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은 존재의 기쁨을 경험하는 것이다.
좌절을 경험한 사람은 자신만의 역사를 갖게 된다. 그리고 인생을 통찰할 수 있는 지혜의 길로 들어선다.
언덕을 넘으면 속도가 빨라진다는 것만 기억하라.
우리가 겪는 거의 모든 슬픔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인간은 고슴도치와 같다. 너무 가까이하면 가시에 찔리고 너무 멀리하면 추워진다.
사람은 자신이 가진 것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고, 항상 자신에게 부족한 것에 대해서만 생각한다.
4. 쇼펜하우어 명언
모든 진리는 다음 세 단계를 거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조롱받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강력한 반대에 직면하고
세 번째 단계에서는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5. 쇼펜하우어 명언
돈이라는 것은 바닷물과 같다. 더 많이 마시면 마실수록 더 갈증이 나는 것이다. 그리고 명성도 이와 마찬가지다.
고독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은 자유를 좋아하지 않는 것과 같다. 왜냐하면 혼자 있을 때에서야 비로소 진정으로 자유로워지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사람은 시간을 어떻게 소비할지를 고민한다. 하지만 뛰어난 사람들은 시간을 어떻게 사용할지를 고민한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처럼 되기 위해 우리 자신의 대부분을 잃어버리고 산다.
심하게 불행해지지 않는 방법은 바로 너무 많은 행복을 기대하지 않는 것이다.
만약 어떤 사람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의심된다면 믿는 척해야 한다. 그러면 그는 대담해지고 확신하며 더 강하게 거짓말을 하고 가면을 벗기 때문이다.
뜻밖에 아주 야비하고 어이없는 일을 당하더라도 그것 때문에 괴로워하거나 짜증 내지 마라. 그냥 지식이 하나 늘었다고 생각하라. 인간의 성격을 공부해 가던 중에 고려해야 할 요소가 새로 하나 나타난 것뿐이다.
우연히 아주 특이한 광물 표본을 손에 넣은 광물학자와 같은 태도를 취하라.
6. 쇼펜하우어 명언
청년기에는 주관이 지배하고. 노년기에는 사색이 지배한다.
청년기는 작가로서 알맞은 시기이고, 노년기는 철학에 알맞은 시기이다.
실천하는 데 있어서도 청년기는 주관과 인상에 따라 결정하고 노년기에는 대부분이 사색한 다음 결정한다.
돈 빌려 달라는 것을 거절함으로써 친구를 잃는 일은 적지만, 반대로 돈을 빌려줌으로써 친구를 잃는 일은 쉽다.
희망은 마치 독수리의 눈빛과도 같다. 항상 닿을 수 없을 정도로 아득히 먼 곳만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이 가진 시야의 한계를 세상의 한계로 간주한다.
삶은 욕망과 권태 사이를 왕복하는 시계추와 같다.
'명언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자 명언모음 좋은글귀 사람을 대할 때는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라 (0) | 2025.01.29 |
---|---|
공자 명언모음 좋은글귀 스스로 원치 않은 일을 남에게 시키지마라 (0) | 2025.01.28 |
조 디스펜자 박사, 환경의 노예에서 벗어나는 방법 (0) | 2025.01.27 |
채근담 명언모음 좋은글귀 남의 조그만 허물을 꾸짖지 말고 남의 비밀을 드러내지 말고 남의 과거에 잘못을 생각하지 마라 (0) | 2025.01.26 |
채근담 명언 좋은글귀 명언 7가지 (0) | 2025.01.25 |